[Daily Report] Daily Report : BoF & McKinsey - 글로벌 뷰티 산업의 미래, '가치 중심 시대'로 전환
2025/06/11 09:11
1. BoF & McKinsey: 글로벌 뷰티 산업의 미래, '가치 중심 시대'로 전환
-
성장 둔화 속 복합 시장 구조로 전환 중: 글로벌 뷰티 산업은 연평균 성장률이 2022~2024년의 7%에서 2030년까지 5%로 둔화될 전망이며, 그간의 ‘무조건 성장’ 시대는 소비자 가치 중심의 복잡한 시장 환경으로 빠르게 재편.
-
향수와 시술 중심의 수요 유지, 창업자 마케팅 효과 감소: 향수는 연 6%로 가장 높은 성장률이 예상되며, 미용 주사제의 글로벌 확산도 지속되지만, 유명 창업자 중심의 브랜드 성장 효과는 감소하고 있으며 구매 결정 요인으로서의 영향력도 약화.
-
소비자 기대 변화에 따른 전략적 리포지셔닝 필요: 소비자는 제품의 실질적 효과와 가성비를 중요하게 여기며, 브랜드는 기능성과 심미성을 조화롭게 전달하는 서사 구조, 차별화된 마케팅, AI 기반 퍼스널라이제이션 등을 강화될 필요성.
2. Beewise: AI 로봇 벌집 ‘BeeHome’으로 5천만달러 투자 유치
-
AI 기반 스마트 벌집으로 군락 보호 및 작물 수확 극대화: Beewise의 BeeHome은 AI와 정밀 로보틱스를 활용하여 실시간 벌 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 및 관리함으로써, 벌 군락의 생존률을 높이고 작물 수확량과 생물 다양성 개선에 기여.
-
기후 적응형 농업 솔루션으로 글로벌 주목: 2024년 미국 벌 군락의 62%가 사라진 상황에서, BeeHome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핵심 솔루션으로 자리잡고 있으며, 이번 시리즈 D 라운드에서 5,000만 달러를 유치해 총 투자금은 1억 7천만 달러에 도달.
-
글로벌 확장 및 기술 고도화에 투자 집중: 확보된 자금은 R&D 고도화,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, 생태 기반 지속 가능성 강화를 위한 기술 혁신에 사용될 예정으로, BeeHome은 기후 기술 산업 내 주요 플레이어로 성장 중.
3. 스테이블코인, 2025년 123억 달러 투자로 ‘메인스트림’ 등극
-
기관 자본 유입과 함께 금융 인프라로 자리매김 중: Visa, Mastercard, 글로벌 은행 등 주요 금융기관이 스테이블코인 인프라에 진입하면서, 단순 결제 수단을 넘어 수익 상품 및 유동성 인프라로 진화 중.
-
규제 명확성 확보가 투자 폭발의 핵심 촉매: 명확한 글로벌 규제 환경 조성은 기관 투자자 유입을 가속화하고 있으며, 크로스보더 결제 및 대체 금융 시스템으로서의 역할이 부각.
-
시장은 다각화, 활용도는 확장 중: 2025년 스테이블코인 산업에 대한 투자는 2024년의 10배 수준으로 예상되며, 이는 디지털 자산이 금융 시스템의 핵심 자산군으로 빠르게 흡수되고 있음을 의미.
4. ETH Zurich: 4족 로봇 ANYmal-D, 인간과 배드민턴 경기 성공
-
강화학습 기반 제어 시스템으로 셔틀콕 예측 및 대응: ETH 취리히 연구진은 Stereo 카메라, 다이나믹 암, 강화학습 기반 제어기를 조합하여 로봇이 셔틀콕의 궤도를 추적하고 예측하는 능력을 학습.
-
현실 데이터와 훈련 데이터 비교 통한 반응 정밀화: ‘Perception Noise Model’을 도입해 실시간 인식과 학습 데이터 간 비교를 가능케 하여, 인간처럼 시야 조정 및 타구 후 포지셔닝이 가능하도록 구현.
-
스포츠 로보틱스의 미래 가능성 입증: 초기 실험에서 10회 이상의 랠리를 유지하는 데 성공했으며, 이는 동적 스포츠 환경 내 다족 로봇 활용의 기술적 기반을 확립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.
5. Hoka의 성장 둔화 vs On의 전방위 확장 전략
-
Hoka는 성장 둔화, On은 다각화 통해 초과 성장: Hoka는 분기 성장률이 10%로 하락한 반면, On은 43% 성장하며 Wall Street 기대치를 상회했고, 다양한 스포츠·패션 채널을 통해 시장 확장을 가속화 중.
-
프리미엄 슈즈 혁신 격차가 브랜드 경쟁력 좌우: On은 고가 기술형 러닝화로 젊은 소비자층을 공략하고 있는 반면, Hoka는 레이스 전용 제품 및 빠른 신발 개발에 뒤처져 있다는 지적.
-
중가 시장 탈환 위한 전략적 전환이 시급: 두 브랜드 모두 아디다스, 아식스 등 대형 브랜드에 중간 가격대 고객을 빼앗기고 있으며, 향후 성장을 위해 라이프스타일과 퍼포먼스 카테고리 간 균형 전략이 필요.
6. 냉장고 속 식품을 2배 오래 보관하는 프리미엄 푸드케어 기기
-
에틸렌·세균 제거 통해 식품 신선도 연장: Shelfy Lite는 에틸렌 가스와 냄새·세균을 제거하는 세라믹 필터와 정밀 팬 시스템을 활용하여, 과일·채소의 부패를 지연시키고 냉장고 내 공기를 정화.
-
제로 유지비, 직관적 사용성으로 접근성 확보: 필터 교체 없이 물세척만으로 재사용 가능하며, 3가지 모드(Eco, Crisper, Performance)를 통해 다양한 냉장 환경에 적응 가능.
-
소비자·환경 모두를 위한 경제적 솔루션: 연간 약 $2,000에 달하는 가정 내 식품 폐기 비용을 줄여주며, 탄소배출 저감 효과와 맞물려 실용성과 지속 가능성을 동시에 실현.
7. 흡연의 ‘쿨함’은 사라지고 규제 효과 부상
-
미국 담배 판매량 60년 만에 최저치 기록: 2022년 판매량은 1735억 개비로, 1980년대 전성기 대비 70% 이상 감소하였으며, 이는 반세기 넘는 규제와 인식 개선의 결과로 분석.
-
글로벌 담배 사용률 지속 감소 추세: WHO는 2000년 32.7%였던 흡연율이 2020년에는 21.7%로 하락했다고 발표했으며, 미국의 경우 CDC는 금연 운동이 ‘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공중보건 캠페인 중 하나’라고 평가.
-
아시아 국가 내 극단적인 성별 흡연 격차 존재: 중국·인도네시아 남성 흡연율은 각각 44%, 73%에 달하지만 여성은 1%대에 불과하며, 이는 문화적 금기와 성별 역할 인식에 기인한 현상.
8. Orange Biomed: OBM A1c, 당뇨 모니터링의 패러다임 전환
-
1방울의 혈액으로 5분 내 랩 수준 HbA1c 측정: 기존 병원 방문 필요성을 줄이고, 휴대 가능한 이 장치는 정확도 높은 당화혈색소 수치를 즉시 제공함으로써 자가 진단과 치료 조정에 용이.
-
다인종 신뢰성 확보, 사용자 중심 설계 강조: 기존 기기의 한계였던 헤모글로빈 변이에 따른 오류를 방지하며, 시각·촉각 중심의 직관적 UI는 노년층 및 비전문 사용자에게도 접근성을 높임.
-
글로벌 건강 불균형 해소 위한 도구로 부상 중: 냉장 필요 없는 구조, 24개월 유통기한, 손쉬운 작동 방식 등은 저자원 지역에서도 활용 가능성을 높이며, 의료 접근성 확대에 기여.